코로나 백신(모더나 화이자) 기대 효과, 접종 시기, 임상 실험 단계는?
목차
코로나 백신 (화이자, 모더나) 현재 개발 단계는?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할 수 록 백신 개발 소식에 귀를 기울일 수밖에 없습니다. 미국의 제약사 화이자에 이어 모더나도 나도 임상시험에 대한 중간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현재까지 예방 효과가 90% 가 넘는다 고 했습니다 정부는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5개 회사를 골라 막바지 국내 협상을 하고 있습니다.
미국 제약사 모더나는 3만 명을 대상으로 크로나 일고 백신 임상 시험을 했습니다. 개발의 마무리 단계인 3상 인상 시험인데 예방 효과는 94.5% 로 나타났습니다. 일주일 전 발표된 화이자보다 높은 수치입니다. 모더나는 빠르면 연내 1000만 명이 백신을 맞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모더나 백신은 보관과 유통에서 경쟁력이 있습니다. 화이자가 개발하고 있는 백신은 효능을 유지하려면 영화 70도의 초저은 에서 보관해야 합니다. 반면 모더나 백신은 영하 20도를 유지하면 6개월간 보관할 수 있습니다. 또 냉장 보관도 가능합니다.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백신 보관 용 냉장고는 일반 독감 백신 등을 넣었는데요. 온도를 2도 에서 팔도 정도를 유지합니다. 모더나 백신은 이러한 온도에서도 30일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고 밝혔습니다.
모더나 백신은 백신을 공동으로 구매해 나누는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를 통해서도 공급받을 수 있을 예정입니다. 우리 정부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글로벌 제약사들이 개발해 3상 임상시험에 들어간 코로나 백신은 10개 정도입니다. 방역당국은 5개를 골라 사들이기로 했는데 협상이 막바지에 이르렀다고 말했습니다. 임상시험 정보를 모아 먼저 구매할 백신과 시간을 두고 살 백신을 나눌 계획입니다. 어느 백신을 구매할지는 이달 말이나 다음 달 초 공개될 것으로 보입니다.
접종 시기는?
접종 목표는 내년 가을입니다. 독감 예방접종이 이루어지기 전에 하겠다는 것입니다.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 권준옥에 의하면 내년 추석은 올해와 국민 여러분들이 다르게 지내실 수 있도록 만들 것이라는 각오로 지나고 있다고 합니다. 남은 과제도 많습니다. 우선 안전입니다. 수만 명 규모의 임상시험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이 정도로는 부족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임상연구가 아무리 크게 해도 규모의 한계가 있다고 합니다. 뭐 예를 들어 10만 명이나 100만 명이 한 명 정도로 발생하는 빈도를 알아내기는 불가능하죠.
백신 주권을 위해서는 국내 백신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국내업체 여러곳이 자체 백신을 개발하고 있지만 글로벌 제약사와는 격차가 있습니다. 방역당국은 내년 말쯤 국내 백신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코로나 백신 Q/A
독감백신과 비교하면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는 것인가?
우리가 최근에 접종하는 독감 예방접종 같은 경우에 효과 약 60% 의 정도로 측정 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코로나 19의 감염 재생산 수. 즉 1명의 확진자가 몇 명에게 새로운 환자를 만들 수 있냐 라는 측면을 봤을 때 우리가 코로나 시19를 조금씩 지키기 위해서는 약 70퍼센트 정도의 효과가 필요한 상태였습니다. 근데 지금 모더나, 화이자에서 제시하고 있는 효과가 약 90% 이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예상보다 굉장히 높은 수치이며 이 효과가 그대로만 나타날 수 있다면 코로나의 종식을 기대할 수 있는 그런 상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실험 단계에서 효과하고 실제 보급해 쓸 때 효과는 조금 다를 수가 있는 것 아닌가?
지금 효과와 효능의 차이를 좀 구별해야 됩니다. 지금 이제 임상 3상 시험 결과를 통해서 제시되고 있는 90% 이상이라고 하는 것들은 어떻게 보면 효능에 가깝습니다. 굉장히 이상적인 상황에서 접종이 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결과입니다. 이게 실제 우리의 현실 세계에서 접종이 되었을 때 과연 그만큼 효과가 나타날 수 있냐는 좀 다른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90% 라는 효능은 그 효과를 좀 낮아지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굉장히 여유 있는 수치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중간 결과이기 때문에 최종 결과는 좀 더 지켜봐야 하는 부분인데 미국이나 유럽은 내년 1월부터는 접종이 가능하도록 하겠다. 이런 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내는 가을이 목표입니다. 왜 이렇게 차이가 좀 나는 것인가?
일단 그 미국 유럽과 우리나라의 상황 차이를 좀 감안을 하셔야 됩니다. 미국과 유럽 같은 경우에는 코로나 19의 세 번째 파도가 닥치고 있고 굉장히 확진자 순자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런 상태에서 역학 조사나 추적이나 진단검사 만으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빠르게 백신을 도입을 해서 접종하는 것이 거의 유일한 선택 방안이 되는 것이고요. 하지만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그나마 다른 나라에 비해서는 상당히 상황이 통제 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시간의 여유가 좀 어느 정도 있습니다. 그래서 그 다른 나라의 접종 상태 라든지 아니면 백신의 효과 안전성 같은 것들이 평가를 하고 진행할 수 있는 어느 정도 시간적 여유를 벌어둔 상태입니다. 그래서 이제 그런 것들을 감안해서 보급 계획 이라든지 아니면 효과와 안전성을 감안해서 그런 스케줄이 나오게 된 것 것입니다.
안전성 평가는?
화이자나 모더나에서 이루어지는 임상시험 같은 경우에는 3만 명, 4만 명 정도의 규모입니다. 그런데 그 숫자 만으로는 10만 명당 몇 명씩 생기는 그런 부작용에 대해서는 완전히 검증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그런 나라들에서 100만 명 단위의 접종 데이터가 쌓이고 나서 거기에서 안전성 이 완전히 확립이 되고 난 다음에 저희가 도입하고 접종을 하여도 큰 문제가 없다 라는 개념인 것이죠.
치료제 개발 소식도 들려오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데 백신과 치료제 좀 어느 것이 먼저 나올 수가 있을까?
우리나라 셀트리온 같은 기업들에서 항체 치료제를 개발하여 뭐 내년에 몇 만 명분을 보급을 하겠다 라는 계획들이 나와있는데요. 그런데 치료제와 백신은 본질적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백신 같은 경우에는 도입이 되어 우리가 잘 접종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황에 완전한 종식을 바라다볼 수 있는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제 같은 경우에는 성공적으로 개발이 되더라도 중증 환자의 사망률을 낮춰 주거나 경제 환자가 빨리 사회로 복귀할 수 있는 그 정도의 효과만을 기대할 수 있을 뿐이지, 감염자의 숫자를 줄이는 내는 한계가 있습니다. 거의 불가능하게 된 거죠. 그래서 결국은 치료제 개발보다는 백신 개발이 상황의 종식에 더 가까이 가는 방법입니다.
치료제도 사실은 코로나에 대응하는 데 있어서는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긴 합니다. 하지만 이때까지의 시험 결과 같은 것들을 보면 우리가 굉장히 효과가 좋을 걸 예상했던 여러 가지 치료제들은 그렇게 극적인 효과 까지는 가져오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성공적으로 약제가 개발된다고 하더라도 그 효과가 어느 정도까지 유지가 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는 것이죠. 지금 뭐 임상 시험 단계이니 그 결과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일단 백신도 그렇고 치료제도 그렇고 당장 우리가 효과를 보기에는 시간이 좀 걸리기 때문에 지금 중요한 사회적 거리두기 또 마스크 착용 매우 중요한 것 같습니다.
댓글